맨위로가기

이마가와 사다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마가와 사다요는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이자 학자로, 규슈 단다이, 외교관, 문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학문과 무예를 연마했고, 기나이 지역에서 무사로 활동하며 남조 세력과 싸웠다. 1371년 규슈 단다이에 임명되어 규슈 지역의 혼란을 수습하고, 명, 고려, 조선 등과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특히 고려와 조선에 포로를 송환하고 왜구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 1395년 규슈 단다이에서 해임된 후, 저술 활동에 전념하여 《난태평기》 등을 저술했다. 그의 외교 정책은 동아시아 평화에 기여했으며, 만년에는 학문 연구에 몰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마가와씨 - 오시오 헤이하치로
    오시오 헤이하치로는 1793년에 태어나 부패에 맞서 싸우다 봉기를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자결한 일본의 양명학자이다.
  • 이마가와씨 - 쓰키야마도노
    쓰키야마도노는 센고쿠 시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정실 부인으로, 정치적 격변 속에서 비극적인 삶을 살았으며, 그녀의 죽음에 대한 여러 설과 함께 후대에 다양한 평가를 받고 있는 인물이다.
  • 1326년 출생 - 무라트 1세
    무라트 1세는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서 발칸 반도 정복, 영토 확장, 예니체리 군단 창설 등 제국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나, 코소보 전투 직후 암살당했다.
  • 1326년 출생 - 이반 2세
    이반 2세는 이반 1세의 아들이자 흑사병으로 사망한 형을 이어 모스크바 대공이 되었으며, 킵차크 칸국에 복속되었으나 키예프의 알렉세이 대주교의 지원을 받아 영토를 확장하고 1359년 사망했다.
  • 15세기 사망 - 안드레이 루블료프
    15세기 러시아의 이콘 화가이자 수도사인 안드레이 루블료프는 러시아 정교회 미술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인물로, 「성삼위일체」 이콘은 성삼위일체 묘사의 표준으로 인정받았으며 금욕적인 아름다움과 비잔틴 양식의 조화로 '루블료프파'라는 독자적인 예술 사조를 형성했다.
  • 15세기 사망 - 경선공주
    경선공주는 조선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의 딸로, 1393년 심종에게 하가하여 딸 하나를 두었으며, 남편의 사망 후 1446년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고종 때 공주로 봉해졌다.
이마가와 사다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기쿠치 요사이의 이마가와 사다요 그림
기쿠치 요사이가 그린 이마가와 사다요
이름이마가와 사다요
다른 이름이마가와 료슌
통칭로쿠로
법명도쿠옹(徳翁)
생년1326년
몰년1420년 10월 5일?
묘소시즈오카현후쿠로이시 해장사
관직
관위사쿄노스케, 이요노카미
막부무로마치 막부사무라이도코로 두인
야마시로 슈고
히키쓰케 두인
규슈 단다이
도토미, 스루가 반국 슈고
가문
씨족이마가와 씨
부모아버지: 이마가와 노리쿠니
형제자매이마가와 노리우지, 이마가와 사다요, 이마가와 우지카네, 이마가와 나카아키
배우자정실: 도키 요리오의 딸
자녀이마가와 사다오미
나와 사다쓰구
이마가와 고토요
오자키 사다카네
이마가와 미쓰노리
딸 (기라 도시우지의 부인)
양자이마가와 나카아키
군사 경력
소속아시카가 다카우지
아시카가 요시아키라
아시카가 요시미쓰
계급슈고, 사무라이도코로 가신, 군사 지휘관
참전불명
기타 정보
기타 작품에이유햐쿠닌잇슈

2. 생애

사다요는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불교, 유교, 중국어, 궁술, 전략, 승마 등 다양한 학문과 무예를 배웠으며, 특히 시에 큰 열정을 보였다. 20대에는 교고쿠파 시인 다메모토와 레이제이 학파의 레이제이 타메히데에게 시를 배웠다.[1]

1355년 호소카와 기요우지와 함께 도지(東寺)에서 남조 세력과 싸웠으며, 1361년 기요우지가 실각하자 아버지의 명으로 강화 협상에 참여했다. 1367년 2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라가 사망하자 출가하였다.[1]

1370년 호소카와 요리유키의 추천으로 규슈 단다이에 임명되어 1371년부터 1392년 남북조 통일까지 가네요시 친왕을 옹립한 남조 세력과 전투를 벌여 규슈를 평정하였다.

1376년부터 정몽주를 비롯한 명나라, 고려, 조선과 활발하게 교류하며 왜구를 진압하고 고려인 송환을 실시하는 등 선린 정책을 추진했다.[2][3]

1395년 규슈 단다이에서 해임되었고, 오에이의 난(1399년) 때 오우치와 내통했다는 의심을 받았으나 1402년 사면받았다. 만년에는 저술 활동에 전념하다 1418년에서 1420년 사이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니시오시 이마가와초의 이마가와 씨 발상지에 있는 료슌(사다요)의 공양묘

2. 1. 기나이에서의 활동

어린 시절의 행적은 불분명하지만, 아버지 이마가와 노리쿠니를 따랐다는 기록이 있어 12, 3세 무렵부터 와카를 배웠다. 아시카가 쇼군가 내부의 대립에서 무로마치 막부 초대 쇼군 아시카가 다카우지와 그 동생 아시카가 다다요시 양측의 항쟁으로까지 번진 간노의 소란에서는 아버지와 함께 쇼군 다카우지를 따라 다다요시 일파나 남조 세력과 싸웠고, 쇼헤이 10년/분카(文和) 4년(1355년)에는 호소카와 기요우지와 함께 도지(東寺)에서 싸웠다.(난태평기難太平記)[1]

무로마치 막부집사(執事)가 된 기요우지가 쇼헤이 16년/엔분(延文) 6년(1361년)에 실각해 남조로 내려가자 아버지의 명령으로 강화 협상을 위해 도토미에서 불려왔다. 군사활동 가운데 도토미나 야마시로의 슈고직, 막부의 사무라이도코로와 히키쓰케슈의 수장 등을 역임하며 쇼헤이 22년/조지(貞治) 6년(1367년)에 2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라가 사망하자 사다요는 출가하였다.[1]

2. 2. 규슈 단다이 (1371년 ~ 1395년)

호소카와 요리유키의 추천으로 규슈 단다이에 임명되어 규슈 평정에 나섰다. 1370년 무렵, 간레이였던 호소카와 요리유키는 시부카와 요시유키의 후임으로 이마가와 사다요를 규슈 단다이로 추천했고, 사다요는 정식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규슈는 간노의 소란 이후 남조 측의 기쿠치 다케미쓰가네요시 친왕을 옹립한 정서부와 아시카가 다다후유 등이 막부로부터 이반하여 쇼니 요리히사를 격파하고 다자이후를 점령하는 등 남조 세력이 강성해진 상태였다. 사다요는 이러한 규슈를 평정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1371년, 사다요는 아키에서 모리 모토하루, 깃카와 쓰네미 등 고쿠진들을 소집하고 규슈로 건너갔다. 오우치 히로요·요시히로 부자 등의 협력을 얻어 아소 고레무라와 연계하여 규슈 평정에 착수했다. 맏아들 사다오미는 분고 다카사키 산성으로, 동생 나카아키는 히젠에서 다자이후를 공격하게 하고, 자신은 부젠에서 다자이후로 공격해 들어갔다. 1372년, 사다요는 가네요시 친왕과 기쿠치 다케미쓰 등을 지쿠고의 고라 산에서 히고 구마베 성까지 몰아내고 다자이후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1374년, 전장은 히고로 옮겨갔고, 사다요는 미즈시마까지 진군했다. 1375년, 사다요는 미즈시마에서의 전투에 대비하여 오토모 지카요, 쇼니 후유스케, 시마즈 우지히사 등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쇼니 후유스케는 참전을 거부했고, 사다요는 연회를 열어 후유스케를 모살했다. 이 사건으로 시마즈 우지히사는 이반하여 귀국했고, 오토모 지카요도 사다요에 대한 지원을 끊었다.

궁지에 몰린 사다요는 오우치 씨에게 협력을 요청했고, 오우치 요시히로가 규슈로 원군을 보냈다. 1377년, 사다요는 기쿠치 다케토모·아소 고레타케 등 남조 세력과 히젠 니나우치에서 충돌하여 승리했다. 이후 사다요는 남조 측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여 1381년에는 다케토모를 본거지에서 내쫓았다. 1391년에는 나와 아키오키와 요시나리 친왕의 항복을 받아내고, 1392년 남북조 통일을 계기로 다케토모와 화친하여 규슈 평정을 마무리했다.

1394년, 사다요는 넷째 아들 오자키 사다카네를 남규슈로 보냈지만, 이듬해 규슈 단다이에서 해임되었고, 시마즈 토벌도 실패로 돌아갔다.

외교적으로는 정몽주와 접촉하여 독자적인 교섭을 진행했고, 왜구를 진압하고 고려인 송환을 실시하는 등 선린 정책을 추진했다.

2. 3. 대명 · 대고려(조선) 외교

료슌은 명나라고려, 조선과의 외교에서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하며 활발하게 교류했다. 1376년 9월, 고려의 사신 정몽주와 접촉하여 왜구 문제를 논의하고, 이듬해 고려인 포로 수백 명을 송환하는 데 힘썼다.[2][3]고려사절요》에 따르면, 료슌이 보낸 군사들이 고려군과 함께 왜구를 진압하고 고려인 포로를 구출하기도 했다. 료슌은 1379년 7월에 고려인 포로 230명을, 1388년에는 승려 묘와와 함께 사신을 보내 고려인 250명을 송환했다. 또한 고려에 대장경을 요청하기도 했다. 1390년1391년에도 사신을 보내 토산물을 바치고 고려인 포로들을 송환했다.

1392년 조선 건국 이후에도 료슌은 외교를 이어갔다. 1394년 조선의 승려 범명과 함께 사신을 보내 남녀 659명을 돌려보냈고, 조선에 집비둘기를 요청하여 태조가 집비둘기 세 쌍을 보내기도 했다. 료슌의 사신은 그해 10월에 귀국했고, 조선 조정은 조준의 명의로 료슌에게 포로 송환에 대한 감사 서신을 보냈다. 12월에는 료슌이 다시 사신을 보내 대장경을 요청했고, 이듬해 조선 사신이 대장경을 전달하자 료슌은 감사의 뜻으로 조선인 포로 570명을 돌려보냈다.[1] 1397년에도 료슌은 조선에 사신을 보내 토산물을 바쳤다.

료슌의 외교 정책은 왜구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한반도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동아시아 평화에 이바지하려 한 노력으로 평가할 수 있다.

2. 4. 규슈 단다이 해임과 만년

오에이 2년(1395년) 7월, 료슌(이마가와 사다요)은 수도로 오라는 명령을 받고 상경했다. 그러나 규슈 단다이에서 해임되었고, 후임으로는 시부카와 미쓰요리가 임명되었다.[5] 료슌의 해임은 오우치 요시히로 등과의 갈등, 시바 요시마사의 정계 복귀, 아시카가 요시미쓰의 견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료슌은 규슈 단다이 해임 후 도토미스루가의 슈고로 임명되어 동생 나카아키, 조카 이마가와 야스노리와 분할 통치했다. 오우치 요시히로는 료슌에게 연합을 제의했으나, 료슌은 거절하고 스루가 통치에 전념했다.

오에이의 난(1399년) 당시 료슌은 조카 야스노리의 참언으로 오우치와 내통했다는 의심을 받았다. 가마쿠라 구보 아시카가 미쓰카네에게 난에 호응할 것을 권했다는 의심도 받았다. 그러나 여러 탄원과 변명 끝에 1402년 사면받았다.

만년에 료슌은 난태평기 집필 등 저술 활동에 전념했다. 1418년에서 1420년 사이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묘소는 시즈오카현 후쿠로이시의 가이조지(海蔵寺)에 있다.

3. 문학

이마가와 사다요는 와카렌가에 능통했다. 와카는 할머니 가온인(香雲院)이나 교고쿠 다메모토, 레이제이 다메히데 등에게 배웠고, 렌가는 니조 요시모토 등에게 배웠다. 니조 요시모토가 주관하는 연중행사 노래 시합에도 참가하였으며, 쇼테쓰와도 친분이 있었다.[1] (禅)이나 유학에도 뛰어났고, 《언새집》(言塵集)이라는 노래 평론집이나 규슈 단다이로써 부임하던 도중에 지은 기행문 《미치유키부리》(道ゆきぶり)가 남아 있다.

사다요는 당시의 시 논쟁에서 활발하게 활동했으며,[1] 1403년에서 1412년 사이에 쓴 6편의 시 논문을 통해 당시 아시카가 막부에 가까운 니조 추종자들에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며 레이제이의 시적 교리와 그들의 대의를 옹호했다.

요시다 겐코의 제자 메이쇼마루와도 친교가 있었고, 메이쇼마루의 규슈 낙향에 따라갔다는 것에서 《쓰레즈레구사》의 편찬에도 어느 정도 관련이 있지 않을까 하는 말도 있지만, 이를 부정하는 연구도 있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Stanford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Wakō: nihon afure katsudōshi Bungeisha
[3] 간행물 Taigai kankei no shiteki tenkai Bunken shuppan
[4] 웹사이트 ColBase https://colbase.nich[...] 2023-08-04
[5] 문서 了俊が解任された理由
[6] 서적 名字の歴史学 講談社 2019-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